0502 nodejs_mongoDB
sql : 규칙에 맞는 데이터 입력, 테이블간 JOIN 지원, 트랜잭션 지원, 안정성, 일관성이 있다. 용어(테이블, 로우, 칼람)
nosql : 자유로운 데이터 입력, 컬렉션 간 JOIN 지원, 트랜잭션 미지원, 확장성, 기용성이 있다. 용어(컬렉션, 다큐먼트, 필드)
트랜잭션: 여러 쿼리가 모두 실행되거나 하나도 수행되지 않음을 보장하는 기능. 컴퓨터 프로그램에서 트랜잭션의 일반적인 의미는 정보의 교환이나 데이터베이스 갱신 등 연관되는 작업들에 대한 일련의 연속을 의미한다.
작업의 단계 >> 트랜잭션..
commit 하면 갱신되고 취소하면 rollback 하는데 그 전의 수정사항을 트랜잭션으라고 보면 된다.
시퀄라이즈 : 객체로 넣으면 뭐든 가능하다.
리다이렉션 : 내가 요청한 주소와 다른 주소로 옮겨지는 것. 홈페이지 변경이나 그런걸로 인해..
C:\mongodb\bin
// 실행파일은 bin 폴더 안에 있음.
..
mongod/bin 밑에 ../ 하면 mongodb ../ 하면 C로 나오고, C 안에 mongoDBdatas 가 있다. 그리고 그 밑에 data로 들어가서 db 안에 내가 경로를 설정할 것이다.
실행파일은 mongodb/bin 파일 안에 있으므로 여기서 mongod해서 실행 하는 것이다. path 경로 설정한 것.
경로설정 : mongod --dppath ../../mongodata/data/
mongod
.\mongod --dbpath ../../mongoDBdatas/data/db
:
.\mongod --auth --dbpath ../../mongoDBdatas/data/db
: --auth 권한으로 열겠다.
.\mongo admin -u node -p node
: admin 권한으로 접속하는데, 유저 이름은 node, 비밀번호는 node
MEAN stack
M: MongoDB
E: Express
A: Angular -> Vue, React
N: Node
MEAN stack이 많이 쓰인다~
from http://co629600.tistory.com/86 by ccl(A) rewrite - 2020-03-07 07:54:11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