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Node.js] Node.js란?

[Node.js] Node.js란?

1. Node.js 란?

공식 사이트의 정의는 아래와 같습니다.

NodeJS 는 구글 크롬의 자바스크립트 엔진 (V8 Engine) 에 기반해 만들어진 JavaScript 런타임입니다. Node.js는 이벤트 기반, 논 블로킹 I/O 모델을 사용해 가볍고 효율적입니다. Node.js의 패키지 생태계인 npm은 세계에서 가장 큰 오픈 소스 라이브러리이기도 합니다.

위의 설명으로 보면 자바스크립트 런타임이라는 표현이 보입니다.

알고 넘어가야 할게 Node는 웹서버가 아닙니다.

노드는 자바스크립트 애플리케이션이 서버로서 기능하기 위한 도구를 제공하므로 서버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것 뿐입니다.

아파치 웹서버처럼 HTML 파일 경로를 지정해주고 서버를 열고 그런 설정이 없습니다.

HTTP 서버를 직접 작성해 서버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하는 것 뿐입니다.

2. Node.js 장점

비동기 I/O 처리 / 이벤트 위주:

Node.js 라이브러리의 모든 API는 비동기식입니다, 멈추지 않는다는거죠 (Non-blocking).

Node.js 기반 서버는 API가 실행되었을때, 데이터를 반환할때까지 기다리지 않고 다음 API 를 실행합니다.

그리고 이전에 실행했던 API가 결과값을 반환할 시, NodeJS의 이벤트 알림 메커니즘을 통해 결과값을 받아옵니다.

Node.js 라이브러리의 모든 API는 비동기식입니다, 멈추지 않는다는거죠 (Non-blocking). Node.js 기반 서버는 API가 실행되었을때, 데이터를 반환할때까지 기다리지 않고 다음 API 를 실행합니다. 그리고 이전에 실행했던 API가 결과값을 반환할 시, NodeJS의 이벤트 알림 메커니즘을 통해 결과값을 받아옵니다. 빠른 속도: 구글 크롬의 V8 자바스크립트 엔진을 사용하여 빠른 코드 실행을 제공합니다.

구글 크롬의 V8 자바스크립트 엔진을 사용하여 빠른 코드 실행을 제공합니다. 단일 쓰레드 / 뛰어난 확장성:

Node.js는 이벤트 루프와 함께 단일 쓰레드 모델을 사용합니다. 이벤트 메커니즘은 서버가 멈추지않고 반응하도록 해주어 서버의 확장성을 키워줍니다. 반면, 일반적인 웹서버는 (Apache) 요청을 처리하기 위하여 제한된 쓰레드를 생성합니다.

Node.js 는 쓰레드를 한개만 사용하고 Apache 같은 웹서버보다 훨씬 많은 요청을 처리할 수 있습니다.

Node.js는 이벤트 루프와 함께 단일 쓰레드 모델을 사용합니다. 이벤트 메커니즘은 서버가 멈추지않고 반응하도록 해주어 서버의 확장성을 키워줍니다. 반면, 일반적인 웹서버는 (Apache) 요청을 처리하기 위하여 제한된 쓰레드를 생성합니다. Node.js 는 쓰레드를 한개만 사용하고 Apache 같은 웹서버보다 훨씬 많은 요청을 처리할 수 있습니다. 노 버퍼링: Node.js 어플리케이션엔 데이터 버퍼링이 없고, 데이터를 chunk로 출력합니다.

Node.js 어플리케이션엔 데이터 버퍼링이 없고, 데이터를 chunk로 출력합니다. 라이센스: Node.js 는 MIT License가 적용되어있습니다.

이 밖에도 다양한 모듈을 제공하는 NPM과 활발한 개발자 커뮤니티도 장점입니다.

3. Node.js 사용

다음과 같은 분야에 Node.js 가 사용된다면 뛰어난 효율성을 달성 할 수 있습니다.

입출력이 잦은 어플리케이션

데이터 스트리밍 어플리케이션 (예: 유튜브)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다루는 어플리케이션 (예: 채팅)

JSON API 기반 어플리케이션

싱글페이지 어플리케이션

참고: https://velopert.com/133

from http://hyem-study.tistory.com/117 by ccl(A) rewrite - 2020-03-12 18:20:07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AWS instance로 Nodejs 구현하기

AWS instance로 Nodejs 구현하기 서버와 데이터베이스 관리 차원에서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선 로컬보다는 서버를 호스팅해서 하는 것이 좋다. 우리는 Nodejs를 구동하기 위해 AWS에서 인스턴스를 할당받을 계획이다. 인스턴스의 pem키를 발급받아 nodejs와 npm까지는 설치를 완료한 상태이다. $ sudo npm install -g express 다음의 명령어를 입력하면 글로벌 옵션으로 어느 path에서든 express를 사용할 수 있게 설치한다. 다음과 같이 실행이 된다면 성공이다. 이후 Express generator를 설치한다. $ sudo npm install -g express-generator@4 버전은 4.x이며 이 역시 글로벌 옵션으로 설치해 준다. 이제 Node monitoring을 위해 nodemon을 설치해 준다. $ sudo npm install -g nodemon 모든 설치가 끝났다. 이제 nodejs를 실행시킬 프로젝트용 directory를 만든다. 이렇게 만들어 주고 express를 실행시키면 된다. $ express -e 다음과 같은 결과가 나오면 된다. 이제 node package를 설치하는 명령어를 입력하자. $ sudo npm install 이제 vi를 통해 포트번호를 정의해보자. app.set의 마지막에 한줄을 추가하면 된다. app.set('port', process.env.PORT || 9000); 이로써 우리는 9000번 포트를 사용하게 되었다. 또한 마지막줄에 서버를 생성하기 위한 코드를 작성하자. module.exports = app; var server = app.listen(app.get('port'), function() { console.log('Express server listening on port ' + server.address().port); }); 이...

카카오 오픈빌더와 외부 API 연동(feat.Nodejs)

카카오 오픈빌더와 외부 API 연동(feat.Nodejs) 이전에 플러스 친구와 외부 API 연동에 관한 글을 작성한 적 있습니다. 하지만 지난 2년동안 플러스 친구에 많은 변화가 생겼는데요. 카카오 플러스 친구의 명칭이 카카오 채널로 바뀌고, 챗봇 세팅 방식이 기존 [카카오 플러스 친구 - 외부 API 연동] 구조에서 오픈빌더가 추가되어 [카카오 채널(구 플러스 친구) - 카카오 i 오픈빌더 - 외부 API 연동] 구조로 바뀌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오픈빌더의 챗봇 시나리오 관리 기능을 간단히 소개하고 외부 API를 연동하는 예제를 다뤄보겠습니다. (연동파트는 5번 항목부터 보시면 됩니다.) 1. 블록 블록은 오픈빌더에서 질의/응답을 관리하는 최소 단위로, 사용자의 발화와 챗봇의 대답을 입력할 수 있습니다. 예를들어 인사라는 블록을 만들고 인사에 해당하는 사용자 발화 패턴들을 입력해두면, 실제 채널 톡방에서 그에 해당하는 발화가 들어왔을때 입력해둔 응답이 나오는 형식입니다. 예전에는 패턴과 발화 키워드가 1:1 매칭, 즉 입력해둔 패턴과 사용자 발화의 string이 정확히 일치할때만 블록이 실행됐었는데, 발화 패턴을 20개 이상 등록하면 머신러닝 기능을 이용할 수 있도록 기능이 생겼습니다. 아마 유사도 분석 개념이 기본으로 들어가있을 것이기 때문에 블록의 주제와 벗어나는 너무 뜬금없는 발화패턴들을 많이 넣지 않도록 하는걸 권장하겠습니다. 2. 시나리오 시나리오는 '블록'들을 묶어서 관리할 수 있는 단위로, 일종의 폴더 구조라고 생각하면 쉽습니다. 오픈빌더에서 좌측 상단에 파란 버튼을 클릭하여 시나리오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하나의 시나리오에서 모든 블록을 관리하면 챗봇 도메인이 커질수록 관리가 어려워지니 아래 같은식으로 시나리오를 사용하여 블록을 구조화하면 운영 측면에서 수월해집니다. 3. 컨텍스트 컨텍스트는 맥락이라는 뜻 입니다. 오픈빌더에 존재하는 컨텍스트는 자연어 분석을 통해서 맥...

[MongoDB] 몽고디비 시작하기

[MongoDB] 몽고디비 시작하기 Mac을 사용하고 있어서 macOS기준으로 포스팅을 작성합니다. 1. 몽고디비란? MongoDB 는 무료 오픈 소스 플랫폼 문서 지향 데이터 베이스(Cross-Platform Document-Oriented)입니다. NoSQL의 일종으로 확장성이 좋고 성능이 우수합니다. JSON과 같은 동적 스키마(Schema)형 문서들을 선호함으로써 전통적인 테이블 기반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들(RDMS)과는 차별화 됩니다. 1) NoSQL이란? NoSQL 데이터베이스는 전통적인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보다 덜 제한적인 일관성 모델을 이용합니다. 때문에 NoSQL데이터베이스는 단순 검색 및 추가 작업이 쉬워서 빅데이터(Big Data) 및 실시간 웹 애플리케이션(Web Application)에 자주 쓰입니다. NoSQL이란 이름은 "SQL을 사용하지 않는다(No SQL)" 라는 의미가 아니고, SQL 계열 쿼리 언어를 사용 할 수도 있다는 사실을 강조하기 위한 이름으로 "Not only SQL" 의 약어입니다. 2) NoSQL vs SQL SQL (MySQL) NoSQL(MongoDB) 규칙에 맞는 데이터 입력 자유로운 데이터 입력 테이블 간 JOIN 지원 컬렉션 간 JOIN 미지원 트랜잭션 지원 트랜잭션 미지원 안정성, 일관성 확장성, 가용성 용어 (테이블, 로우, 컬럼) 용어 (컬렉션, 다큐먼트, 필드) 2. 몽고디비 설치하기 공식 사이트의 메뉴얼을 따라해봅니다. https://docs.mongodb.com/manual/tutorial/install-mongodb-on-os-x/ Homebrew를 활용해서 설치하는 방법을 그대로 따라했습니당ㅇㅅㅇ (Homebrew를 설치하지 않았다면 설치한 후에! 진행하면 됩니다) 터미널 창에 순서대로 실행 brew tap mongodb/brew brew install mongodb-community@4.2 brew 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