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deJS Study] NPM
NPM (Node Package Manager)
Javascript 를 사용해본적이 있으시다면 npm을 한번씩을 들어봤을 겁니다. npm 은 작성한 코드를 쉽게 공유하고 다른 개발자가 개발한 코드를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모듈화 되어 있는 패키지를 공유 하고 설치할 수 있습니다.
이름의 뜻과 동일하게 Node.js 의 패키지를 관리해 줍니다.
나중에 다룰 Angular.js , React.js 등도 npm의 패키지로 설치할 수 있습니다.
npm 명령어
npm의 명령어 리스트 입니다. 이중에 install, update , uninstall 은 매우 자주 쓰이게 됩니다.
npm 버전 확인 아래 명령어로 npm 버전을 조회하실수 있습니다.
$ npm --version
모듈 설치 하기
모듈은 install 명령어를 이용하여 설치 할수 있습니다.
그외의 모듈의 update , uninstall 도 아래의 방식으로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npm install npm uninstall npm update
모듈의 설치 범위 [local/global]
npm 으로 install 할때 아무런 추가 명령어가 없다면 npm은 명령어가 실행된 경로의 directory 안에 패키지를 설치하게 됩니다. 글로벌으로 설치하게 되면 현재경로가 아닌 유저의 경로에 설치 하게 됩니다.
글로벌로 설치하고 사용 하려면 명령어 '-g' 를 추가하여 설치해 주면 됩니다.
ex) npm install -g express
ex) npm install -g express 로컬 설치라면 현재 경로에서만 사용하겠다는 의미 이며, 다른 경로나 프로젝트에서 사용하려면 새로 install 하여 추가하여야 합니다.
글로벌로 설치하는 경우는 -g 를 추가하여 설치하고, 바로 사용할수 있는게아니라 사용하실 프로젝트(혹은 경로) 에서 npm link 을 입력하여야 불러 올 수 있습니다.
글로벌 설치 경로 window : C:/Users/{username}/AppData/Roaming/npm/node_modules linux 계열 : /usr/lib/node_modules
package.json
설치된 모듈의 경로에 존재하며 현재 패키지의 속성이 정의되어 있습니다. maven을 경험해 보셨다면, maven의 pom.xml과 같은 역할을 합니다.
즉, 프로젝트가 의존하는 모듈과 모듈버전등의 정보를 담고 있습니다.
package.json의 아래와 같은 구조로 되어 있습니다.
package.json이 정의된 상태에서 npm init 명령어를 입력해 주면 정의된 dependencies의 버전에 따라 자동으로 인스톨 하게 됩니다.
{ "name": "react-tuto", "version": "1.0.0", "description": "", "main": "hello.js", "dependencies": { "babel-core": "^6.21.0", "babel-loader": "^6.2.10", "babel-preset-react": "^6.16.0", "babel-preset-es2015": "^6.18.0", "react-dom": "^15.4.1", "create-react-app": "^1.0.2", "react": "^15.4.1", "webpack-dev-server": "^1.16.2", "webpack": "^1.14.0" }, "devDependencies": {}, "scripts": { "test": "echo \"Error: no test specified\" && exit 1" }, "author": "", "license": "ISC" }
from http://mollangk.tistory.com/18 by ccl(A) rewrite - 2020-03-07 11:54:15
댓글
댓글 쓰기